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7

한국 음식의 식생활 모습은 어떨까요?! 1. 한국 식생활 형성 배경 우리나라는 평야에 비해 산이 많아서, 강 유역을 중심으로 평야 지대가 발달하였습니다. 그래서 강 유역 중심으로 곡물 재배가 활발하여 한반도의 서부와 남부에서는 벼농사를, 동부와 북부에서는 밭농사를 많이 하였습니다. 중부와 남부 지방에 벼농사가 치우쳐 있어서 다른 지역에서는 풍토에 맞게 수수, 보리, 밀, 기장 등의 잡곡류와 콩류를 많이 생산하여 곡류 중심의 식생활을 형성하게 되었습니다. 식생활을 위시한 모든 생활 문화가 다중구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그래서 아시아 대륙의 동북부에 위치한 반도국이며, 삼면의 바다로 수산물 자원이 풍부하였습니다. 계절마다 식량을 위시한 모든 생활을 지혜롭게 대비하면서 살아왔습니다. 특히 가정마다 계절 식품을 활용하여 비철에 대비해 식품을 저장하였습.. 2022. 12. 13.
한국 음식의 주식류와 떡류 ** 한국 음식의 분류 ** 1. 주식류 1) 밥, 죽, 응이, 미음 밥은 쌀을 비롯한 곡물에 물을 붓고 가열하여 완전히 호화시킨 대표적인 음식입니다. 밥 지을 때는 쌀의 건조상태, 품종, 밥 짓는 분량에 따라 물 분량과 화력 조절, 밥 짓는 용구, 연료에 의해서도 밥맛이 좌우되기도 합니다. 밥의 종류는 쌀로만 지은 흰밥, 보리, 콩, 수수, 조, 팥 등을 섞어 지은 잡곡밥과 어패류, 채소류, 육류 등 섞어서 지은 별미밥, 그리고 나물과 고기 등을 얹어 섞어 먹는 비빔밥 등이 있습니다. 밥 짓기는 쌀을 씻어서 물에 담갔다가 사용하면 쌀 입자가 팽윤화여 호화를 도와 밥물의 분량은 쌀 중량의 1.3~1.5배, 부피로는 1.2배의 물을 부어 밥을 짓습니다. 밥을 지을 때는 화력 조절이 중요하며 처음에는 센 불.. 2022. 12. 8.
시대별 한국 음식 소개를 해볼게요~ 1. 선사 시대에서 부족국가 시대 우리나라의 농업은 신석기 시대 중기에 시작되었으며, 강변이나 바다 가까이 유적들이 있는 것으로 보아 조개를 따고 어로를 하여 원시적 농경 형태를 갖춘 것으로 봅니다. BC 2천년경에 벼농사가 도입되었고, 청동기시대의 유적에서 탄화된 쌀과 잡곡 및 콩이 동시에 출토되므로 쌀과 함께 잡곡을 혼용한 식생활을 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부족국가 시대에 접어들어 벼, 기장, 보리, 콩, 수수, 조, 팥의 생산이 많이 늘어났습니다. 기원전 4세기경에 농업용 구가 철기로 바뀌게 되면서 농업이 주된 산업으로 정착되고 국가의 기반 산업이 되었습니다. 이 시기에도 이미 술빚기와 장담그기, 채소 절임과 같은 발효식품을 상용하고 시루에 찌는 조리법의 곡물 음식이 사용되었습니다. 특히 고구려인들.. 2022. 12. 8.
명명학에 대하여 알아보자! 1. 생물의 명명법 스웨덴의 식물학자인 린네에 의해 정리된 규칙을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연구된 모든 생물 종의 이름을 이명법으로 정리하였고, 이명법을 기초로 국제적인 명명규약이라는 것을 제정하였다. 식물은 식물대로, 세균은 세균대로, 동물은 동물대로, 원예종은 원예종대로 각각 명명규약이 해당 분야를 연구하는 분류학자들에 의해 제정되었다. 이름에는 정명과 이명이 있으며, 첫째, 명명규약을 규칙을 적용하여 분류군에 붙인 합법적인 이름 둘째, 타당하게 출판 셋째, 가장 먼저 그 분류군에 제시된 이름. 명명규약의 규칙 중 가장 기복적인 사항은 속 이상의 분류계급 이름은 한 단어를 사용하며, 종은 속명과 종소명의 2단어로 구성된 이명법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은 라틴어 또는 라틴어화하여 나타낸.. 2022. 12. 7.